현대자동차·기아, 혁신적인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양산 성공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자동차·기아, 혁신적인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 양산 성공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일반적인 도장 공정 없이도 매끄러운 차체 표면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의 양산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기술은 현대차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인 ‘ST1 카고’의 루프 스포일러에 최초로 적용되었다.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은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하여 별도의 도장 작업 없이 차량 외관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제조 공법이다. 이 공법의 핵심은 투명층과 컬러층이 적층된 컬러 원소재를 사용하여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기술 원리는 먼저 컬러가 입혀진 원소재를 가열하여 연화(軟化)시킨 뒤 금형 위에 올려 루프 스포일러 모양의 외관 성형물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후, 성형물 안쪽에 열경화성 소재인 폴리우레탄과 유리 섬유를 도포한 뒤 금형으로 다시 눌러 최종 제품을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도장 및 샌딩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대폭 향상된다.


차체 도장 공정은 자동차 제조 공정 중 에너지 소비가 가장 높은 단계로,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한다.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은 이러한 고에너지 공정을 대체하여 에너지 사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을 통해 생산된 제품은 일반 도장 기법에 비해 높은 수준의 광택과 균일하면서도 풍부한 발색을 구현할 수 있다. 컬러 원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가벼운 손상 시에도 상처 부위에 원색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이 기술에 사용된 복합 소재는 기존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대비 20% 이상 가벼워 전기차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현대차·기아는 이 기술이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후드 패널 등과 같은 차체 부품 제작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무도장 복합 소재 기술은 성형 자유도가 높고 다채로운 컬러 구현이 가능해 다품종 소량 생산이 필요한 부품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이 기술을 통해 맞춤형 모빌리티를 제공하여 고객의 다양한 기호와 목적을 만족시키겠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이 제조 공법의 혁신을 이끌어 생산 유연성과 높은 상품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에너지 사용 절감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제조 기술 연구의 결과물인 이 공법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한 걸음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은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혁신을 가져오며, 자동차 제조 공정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단순히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넘어,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첨단 제조 기술을 선보이며, 고객에게 더욱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번 기술 도입은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과 맞물려,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무도장 복합재 성형 기술은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며, 다른 제조사들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기아의 이 같은 선도적인 기술 개발은 미래 모빌리티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현대차·기아의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친환경 노력은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며, 고객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이번 성과를 통해 현대차·기아는 친환경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