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체기사 보기

어명소 제2차관,“광주를 미래차 …

광주 미래차 국가산단 추진, 29일 미래차 비전선포식 참여

어명소 제2차관,“광주를 미래차 산업 으뜸 도시로”

어명소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3월 29일(수) 오후 2시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미래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광주 미래차 비전선포식」에 참석하였다. 이 자리에는 어명소 차관을 비롯하여 민형배, 이형석, 양향자 국회의원과 광주 강기정 시장이 함께 참석하였고, 기아차 최준영 대표이사,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웬디 바우어(Wendy Bauer), 구글의 파울 윌슨(Paul Wilson) 등 각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 유관기관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하여 비전선포식을 더욱 뜻깊게 하였다. * (기조연설) AWS의 Wendy Bauer(제너럴 매니저), 구글 Paul Wilson(총괄이사) (주요인사) 민형배, 이형석, 양향자 국회의원, 기아자동차 최준영 대표이사, 삼성전자 주은기 부사장 등 이날 선포식에서 어 차관은 “자동차 산업의 미래차 전환 등 대변혁이 진행되는 이 시기에 광주가 신규 미래차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정부는 이를 통해 “전기차·자율차 등 미래차 전후방 연관 산업을 집적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미래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위해 “광주시, 지방공사 등과 협의하여 사업시행자도 4월 중신속하게 선정하고,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조속 추진하는 등 행정절차 간소화 및 소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예정이며, 그린벨트 해제, 농지전용, 환경·교통·재해 영향평가 등 인허가 절차도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신속하게 완료하겠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어 차관은 ”산업부, 광주시와 협력하여 충분한 인프라와 벤처기업, R&D, 인력양성 등 산업생태계를 형성함으로써 경제 성장의 든든한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하고, ㅇ 상무지구의 도심융합특구, 전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광주 송정역 투자선도지구 등 도심 내 혁신거점과도 연계 조성하여 거점 간 상호 시너지 효과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신규 국가산단과 빛그린 산단에 결집된 광주의 자동차 산업 잠재력이 우리나라 미래차 경쟁력 세계 1위를 달성하는데 중추 역할이 될 수 있도록 정부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2023서울모빌리티쇼, 공간적 제…

2021서울모빌리티쇼 대비 전시면적 2배, 참가기업 수는 60% 증가

2023서울모빌리티쇼,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모빌리티쇼로

국내 최대 규모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 ‘2023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ty Show2023)’가3월 30일(목) 언론공개행사를 시작으로 31일(금)부터 4월 9일(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 강남훈 조직위원장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위원장 강남훈 겸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이하 조직위) 강남훈 조직위원장은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육·해·공을 아우르는 하드웨어 모빌리티와 소프트웨어 모빌리티, 모빌리티 서비스 등 산업생태계 전반의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출품되며, 이를 통해 융·복합 전시회로 탈바꿈한 모습을 체감하실 수 있을 것”이라며 “서울모빌리티쇼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우리나라 모빌리티 산업은 물론, 관련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올해 서울모빌리티쇼는 킨텍스 제1전시장 1~5홀에서 열린다. 총 전시규모는 53,541m2로 지난 행사(26,310m2)보다 약 2배 이상 확대됐으며, 전 세계 10개국 160여 개 기업·기관이 참가하여 다양한 모빌리티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2021년 대비 약 60% 증가한 수치다. 관람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주말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조직위는 간담회에서 2023서울모빌리티쇼의 주요 특징으로 ①다양한 모빌리티 콘텐츠 부각 ②미래첨단기술로 모빌리티 산업 청사진 제시 ③모빌리티 산업 견인 및 B2B 지원 강화 ④시승행사 및 공간적 제약을 벗어난 다이나믹한 체험을 꼽았다.

울주군 길천산단에 미래상용차 제조…

㈜케이에이알, 27일 공장 준공식…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생산

울주군 길천산단에 미래상용차 제조공장 준공

-매출 400억원 이상 달성, 지역주민 300여명 고용 목표 미래상용차 제조기업인 ㈜케이에이알(대표 최성재)이 27일 울주군 상북면 길천일반산업단지에 미래상용차 제조공장을 신설하고 준공식을 가졌다. 이날 준공식에는 이순걸 울주군수와 울주군의회 김영철 의장 및 의원을 비롯해 각 유관기관 대표 및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또 카자흐스탄 총영사도 함께해 미래상용차에 관심을 보였다. 앞서 울주군은 지난 1월 ㈜케이에이알, (재)울산테크노파크, (사)울산수소버스연구개발조합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미래상용차 제조공장 신규 공장 설립과 지역인력 우선 채용 및 친환경 버스 보급 확산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케이에이알은 총 100억원 상당을 투입해 미래상용차 제조공장을 신설했으며, 향후 매출 400억원 이상 달성을 목표로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에 나선다. 또 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력 100여명을 먼저 고용한 뒤 2028년까지 총 300여명을 순차적으로 고용할 계획이다.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울주군민을 우선 채용할 방침이다. ㈜케이에이알 최성재 대표는 “울주군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 덕분에 신속하게 공장을 설립할 수 있었다. 공장 신설에 많은 도움을 주신 울주군 및 울주군의회,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울산테크노파크의 지원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길천산단 내 상용차 개발 기업들의 힘을 모아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순걸 군수는 “㈜케이에이알이 우수한 기술력을 활용한 친환경 수소발전 자동차 제조 및 상용화로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강한 경쟁력을 갖춰 세계시장을 향해 힘껏 도약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04년 오토 파워트레인 서비스 기업으로 설립된 ㈜케이에이알은 △통합 안전 제어 시스템 △자율주행 솔루션 △와이어링 하네스 등에 대한 기술을 보유한 모빌리티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